자신감을 가져라! 근데 도대체 어떻게??

자신감을 가지라는 무수한 컨텐츠를 보게 된다.

자신감을 가지라는 말은 나도 맞다고 생각한다.

건강한 정신건강을 챙기게 되며, 현실적인 수준에서의 목표를 세우고, 그 근거를 가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불교, 기독교, 자칭타칭 정신건강 의학자, 정신과 의사 등등 셀 수도 없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수도 없이 외친다.

근데 나는 이런 말을 하는 사람들이 경험이 없는 것인지, 의도적으로 무시하는지 모르지만, 어떻게 자신감을 가지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을 잘 안해준다고 느껴진다.

내 가설은 아마 그런 말을 하는 사람들 스스로도 자신감이 없는 상태에서 자신감을 만든 경험이 아마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회사에서도 무엇 (WHAT)을 어떻게 (HOW)수행할 것인지에 대해서 회사 차원에서도 고민 많이 문제다. 회사에서 들었던 발표 내용에 따르면 보통은 목표 (WHAT)은 그래도 세우는 편인데, 어떻게라는 포인트가 부족하다라는 내용이 있었다.

자신감을 가지는 방법

아무것도 이룬 것도 없이 20대 후반에 대학원을 가기로 한적 있다.

여기서 포인트는 [아무것도 없이]라는 것이다.

인간이 자신감이 중요하다고 해서 스스로 나는 자신있다고 외친다고 생각해보자. 그런다고 자신감이 생길까? 인간은 이런 것에는 합리적이라서 스스로 이룬 것이 없는데, 자신감은 그냥 생기지는 않는다.

이런 말을 하는 인간 스스로도 아무것도 않나면서 자신감만 외친다고 자신감이 생기지는 않는다는 것을 무의식적으로도 인지하고 있는 듯 하다.

  • [미국이직] 한국, 일본에서 미국으로 제약회사/바이오테크로 이직하기_4

    일본에 있으면서 미국이직을 위해 미국에 있는 제약회사, 바이오테크에 지원하고 있다. 지원에 넣는 정보 중에 제일 문제는 내 주소인데, 내 주소는 일본이기 때문이다. 미국 회사들은 ATS 시스템을 통해서 지원자들을 필터링 하는데, 여러가지 조건을 걸어서 자기들 입맛에 맞는 지원자만 1차적으로 통과시킨다. 미국이직을 위해 주소는 매우 중요한 팩터로 포지션의 주위에 살고 있지 않으면 내가 보기에는 시작전부터 거의 탈락이다….

  • 미국 영주권 인터뷰 일본에서 받기 (미국영주권 혼자 준비하기 DS-260_10)

    대사관 입장 미국 대사관에서의 예약 시간은 아침 8시 30분이었다. NIW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미국 영주권 인터뷰 면접 질문이 간단하다고 생각했으나, 나는 직업병이 도져 프로젝트 대응처럼 시작했다. 인터넷, 네이버 카페의 거의 모든 후기를 확인하고, 예상 가능한 질문을 미리 다 확인했다. ㅋㅋ 일본어로 NIW 검색하면 대사관 면접 후기는 절대로 안나오고, 99% 결혼 이민 비자에 대한 내용만 나온다. 나오더라도…

  • [미국이직] 한국, 일본에서 미국으로 제약회사/바이오테크로 이직하기_3

    요즘에도 계속 링크드인으로 리쿠르터, 하이어링 매니져가 될만한 사람들에게 메세지도 보내고, 확인하고 지원하고 있다. 이거는 그냥 일상적인 활동이라 업데이트는 없는데, 몇가지 알게된 것을 기록해둔다. 영주권은 곧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 영주권이 나오는 것과 병행으로 일본에서 미국 제약회사, 바이오테크로 이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국이직을 위한 포지션 좋아보이는 포지션은 나만 보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 미국 제약회사/바이오테크 포지션…

  • 일본에서 이민비자 건강검진 받기 (미국영주권 혼자 준비하기 DS-260_9)

    인터뷰 초대를 받고 제일 먼저 했던 일은 도쿄에 있는 지정 병원에 예약을 하는 것이었다. 사실 오래전부터 준비를 해왔기 때문에 대부분은 예상대로 흘러갔지만, 백신 접종은 진짜 마음대로 안되었네 ㅋㅋ COVID-19 코로나 19 COVID-19(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 Hepatitis A A형 간염 A型肝炎 Hepatitis B B형 간염 B型肝炎 Influenza 인플루엔자 インフルエンザ Influenza type b (Hib) b형 인플루엔자(Hib) インフルエンザb型(Hib) Measles 흥역 麻疹…

  • [AI resume builder] 한국/일본에서 미국 제약회사/바이오테크로 이직하기_2 (인공지능 기반 이력서 수정)

    AI resume builder: Jobscan 지금 알아보는 AI resume builder 이력서 수정 시스템 중에서 제일 비싼 구독료 같다. 1달에 49달러/3달에 90달러 정도? 근데 지원하는 회사 이름을 넣으면 그 회사의 ATS에 따라서 전략을 바꾸면서 이력서를 수정해준다고 한다. 과연?? AI resume builder: Kickresume 한달에 19달러? 정도의 구독료 같고, AI resume builder 제일 싼 구독료다. 디자인적으로 좋은 템플릿들을 많이…

  • [이직] 한국/일본에서 미국 제약회사/바이오테크로 이직하기_1

    이제 곧 미국 영주권이 나올 것 같다. 이력서에 관련 내용을 추가하고 미국에 있는 포지션들에 지원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반응은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유는 몇가지가 짐작이 된다. 미국으로 이직을 하려는데 미국 경력이 없다. 미국 현지에 거주하고 있지 않다. 현지 경험과, 거주하고 있지 않다라는 사실은 내가 한국에서 일본에 올 때도 경험했었지만, 나는 일본에서 박사학위를 졸업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지금…

위의 사진처럼 스스로 실제로 뭔가 행동을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강의 듣고 자신감 가져보야지 한다고 바뀌는 것은 전혀 없다.

이런것을 처음부터 간파하고 내가 실행한 것은 아니고, 지금 시점에서의 사후적인 분석이지만, 그 당시 나는 대학원을 가기 위해서 여러가지 분석, 검색도 하고, 실제로 아는 사람들도 만나면서 대학원 진학을 어떻게 해야하나에 대해서 알아보기 시작했다. 의견을 들을 때는 다양하게 들었지만, 사실 (현실)은 무엇이 정확한지에 대해서 나 스스로 평가, 판단하면서 현실을 알아나갔다.

조금 더 넓은 복안으로는 나는 한국에서 대학원 진학을 할 때, 이미 박사는 일본으로 가기로 정하고 그것도 같이 고려하면서 일을 진행했다.

석사를 진학할때를 기준으로 이야기 해보자.

사실 내가 투입한 것은 값싼 노동력, 시간, 그리고 사람만나서 이야기했던 정도다.

방대한 조사로 나는 어떤 자신감, 자기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물론 틀릴수도 있다.

하지만 이 정도되는 실험실이면 석사로 가도 되겠다라는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많은 학생들이 실수하는 과정이 이 과정인데, 그냥 누군가의 이야기를 듣고 쉽게 대학원 진학을 결정하거나, 실험실을 정하게 된다. 별다른 고민없이.

반드시 본인의 상태를 스스로 정의하고, 거기에 맞추어서 조사를 하고, 평가를 해야한다.

나는 이유는 모르겠는데, 회사도 당연하고, 작은 알바도 실제로 했다가 나랑 안맞아요 하면서 그만둔적도 없다. 자기가 결정했으면 쉽게 포기하지 말자.

알겠지만, 이 세상에는 진짜 다양한 사람들이 많아서

이 정도면 괜찮겠다

라고 생각하는 레벨이 다르다.

그래서인지 대학원 진학전에 알아보고 진학했다는데, 실제로 그만두는 학생들도 많다. 교수가 괴물인지 몰랐어요. 실험실 문화가 이상해요. 등등 여러가지 이유로 그만둔다.

내가 보아온 여러 케이스를 보면 일본에 유학오려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매우 많은데, 그냥 간단하게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끝내려고 한다.

그리고 그 평가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한다. 그래서인지 일본 유학에 대해서 알아봤다고 해서 이야기를 들어보면 뭔가 본인 선택에 자신감은 없어보였다.

  • 지금 자신감이 없다면 아주 작은 도전을 해보자. (작은 일도 상관없다. )
  • 그냥 도전하지 말고, 스스로 알아보고, 평가해 보자. 알아본 수준은 스스로가 전문가는 아니지만, 그 문제에 대해서는 많은 부분에 있어서 더 이상의 궁금한 점이 없는 그런 수준이다.
  • 위의 조사, 평가를 통해서 결정을 했으면, 나중에 예상대로의 수준인지 생각해보자.
  • 예상대로 되었다면 그 다음 작은 도전을 할때 자기확신의 근거로 사용하자.
  • 예상대로 되지 않았다면 어떤 부분에서의 평가가 잘못되었는지 생각해보자.

작은 실패도 거듭되면 스트레스 받고, 사람 기운이 빠지게 된다. 삶에서 중요한 일이라면 깊게 고민하고 결정한다면 그래도 리스크를 많이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런 방법으로 석사도 진학하고, 일본에 가본적도 없는 상태에서 박사 유학을 결정하고, 회사 이직 할때도 이 방법을 사용했다.

이제는 미국에 가본적 없이 미국에 이직을 하려고 하는데, 물론 지금까지의 내 방법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해서 내가 미국가서 적응에 실패하고, 1-2년 만에 다시 아시아에 돌아올 수는 있겠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가 남는게 없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럼 내가 생각한 미국으로의 이직이 내가 생각한 것보다 크게 다르다면 지금까지의 내 작은 경험들이 잘못되었어야 하는데, 글쎄 내가 그동안 평가방법이 작동을 안할지, 예상대로 미국에서도 제대로 적응하고 살지 나중에 어떻게 될지 지금 시점에서도 궁금하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